[팩트신문 = 이상혁 기자]
구포동(양포동) 생활쓰레기 매립장이 아름다운 공원으로 탈바꿈하면서 수국이 만발해 시민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한 송이 꽃이 피기까지는 구름, 바람 등 많은 시련이 있듯이 다온숲 공원은 윤종호 도의원의 끊임 없는 노력의 결실이다.
윤 의원은 시의원 시절 당시 양포동 지역구로 활동하면서 구미시의회에서 2011년, 2014년, 2020년 무려 3차례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악취로 고통받았던 매립장을 공원화하여 시민에게 돌려줄 것을 끊임없이 주장했다. 또한, 집행부에 “쓰레기매립장 활용방안” 연구용역을 제안하여 주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서울의 난지도, 대구수목원처럼 자연생태공원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돌려 달라고 요청했다.
그뿐만 아니다. 구미시는 특정 기업이 쓰레기매립장에 태양광사업을 할 수 있도록 시의회에 동의안을 올렸지만, 윤 의원이 시정질문으로 맞대응 의사를 밝히자, 결국 동의안은 상임위원회에 상정조차 하지 못한 채 철회되었고 윤 의원도 시정질문을 철회했다.
철회 사유로 윤 의원은 수익을 위해 특정 업체가 단체장을 통해서 서명받아 구미시에 동의안을 제출한 것은 특혜성 시비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주민들에게 막대한 피해와 토지지가 하락을 불러올 수 있는 일임을 지적했다.
오히려 공원이 들어오면 쾌적한 공기와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 마련되어 정주 여건이 향상된다고 강조하면서, 서명한 주민을 직접 찾아다니며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에도 유기견 보호센터, 재활용 수집센터 등 여러 차례 어려운 난간이 있었지만, 윤의원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또한, 구미시는 쓰레기매립장의 가스생산 사업을 임대하면서 가스 부족으로 생산이 조기 중단되었음에도, 2025년까지 임대 기간이 남았다는 핑계를 댔다. 하지만, 윤 의원의 끈질긴 설득으로 “산림청 도시바람길 숲 조성사업”인 「생성숲」을 추진하여 지금의 “다온숲”이 지난 23년 완공되었다. 윤 의원의 10년 결실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가는 쾌거를 얻은 것이다.
당시 5분 발언문을 보면 주민들은 이른 아침부터 일손 대신 한 손에는 파리채를 또 한 손에는 킬러를 들고 해충과 전쟁을 벌였고, 악취로 인한 두통으로 창문조차 열 수가 없었다.
주민들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수백 번의 민원을 호소했으며 때로는 울분을 참지 못한 주민들이 길거리로 뛰쳐나와 피와 땀으로 저지하기도 했다.
결국 8년 연장되어 18년 동안 124만 톤의 생활쓰레기를 매립하였고 더 이상 매립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구미시는 임시야적장을 만들어 악취가 발생하는 쓰레기를 베일 포장만으로 3년 동안 무려 13만 1천 톤을 추가로 야적하였다.
악취 속에서 살아가는 주민의 고통을 대변한 윤 의원은 무려 20년간 고통받은 주민에게 반드시 공원을 조성해서 돌려줄 것을 호소하며 미래 양포동은 구미시 전역이 10분 내 교통의 중심지로 가장 살기 좋은 양포동을 만들고 싶다고 호소했다. 그는 아픔을 알기에 더욱 간절했고, 간절했기에 방법을 찾았고, 결국 종지부를 찍었다.
다온숲은 수목류 왕벗, 이팝나무 등 50종 25,680주, 초화류 수국, 억새 등 27종 536,180본으로 조성되어 있고, 다온숲 내 수국은 총 31,900본으로 하루 수백 명의 시민이 찾는 명소로 탈바꿈했다.
윤 의원의 열정은 양포동 도서관 신축 시 64대의 주차장을 250대로 확대했고, 금오공대 170m악취로 인접한 가축 분뇨처리시설을 1km 이상 이전시켰고, 10년간 표류된 거의동 도시개발사업도 시정질문을 통해서 종지부를 찍었다. 주민들은 윤의원의 열정과 추진력에 박수를 보낸다.
그의 열정을 산동읍에서도 빛난다. 400억 규모의 경북교육청 유아교육진흥원 유치, 40명의 폐교 위기에 직면한 산동중학교를 증축하도록 지원하여 전교생 200명 규모의 학교로 만들었고, 산동초등학교를 경북에서 유일하게 늘봄센터‘늘품뜰’을 유치했다. 또한, 산동읍 우항공원 주차장 완공, 맨발 걷기, 물놀이터 확장에 이어서 연말에는 상업지역 내 도시경관 사업의 완공을 앞두고 있다.
지역의 어떤 민원이 발생하면 그 자리에는 항상 윤 의원이 있다. 수국처럼 빛나는 그의 열정과 지역에 대한 애정에 지역민들은 오늘도 뜨거운 응원을 보내고 있다.